50대 직장인 최모 씨는 애완강아지 ‘모모’를 2년째 반려동물 유치원에 보내고 있습니다. 1인 가구인 그는 애완 강아지이 집에 혼자 있는 기간이 길어지면 분리우려가나 공격성 똑같은 행동 문제가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고 보고, 다른 애완 강아지들과 어울릴 수 있는 배경을 마련했다.
최 씨는 “어차피 아이도 없어 강아지를 내 자식처럼 키우고 있습니다”며 “한 달에 10만 원 정도의 유치원비가 들지만 아깝다는 생각은 들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프리미엄 유치원은 월 200만 원이 넘는 곳도 있다”며 “그에 비하면 나는 비교적 합리적인 선택을 한 셈”이라고 추가로 언급했다.
하울팟 유치원에서 기한을 보내고 있는 강아지들. 그림=대교 공급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펫팸족’이 늘면서 교육, 돌봄, 미용, 여행 등 관련 서비스 수요도 급감하고 있을 것이다. 이에 준순해 처음의 학습업계도 반려동물 시장을 과거 발달 동력으로 주목하며 산업 다각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특히 저출산과 학령인구 감소로 원래 사업 구역이 위기를 맞으면서 인구 구조 변화에 따른 실습 수요 축소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반려동물 시장에 속속 진출하는 분위기다.
실습기업 대교는 지난해 강아지 사료 반려동물 전문업체 ‘하울팟’을 인수하며 펫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었다. ‘하울팟 유치원’을 따라서 반려묘의 사회성 실습, 인지능력 촉진, 행동 수정 등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남·서초·분당·위례 등지에서 프리미엄 펫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을 것입니다.
‘빨간펜’으로 잘 알려진 교원그룹 역시 펫 시장에 뛰어들었다. 지난해에는 펫 프렌들리 호텔 ‘키녹(KINOCK)’을 론칭했다. 기존 오피스텔을 리노베이션해 반려동물 중심으로 설계된 이 모텔은 펫 파크, 펫 유치원, 미용실, 리테일숍 등 반려동물을 위한 복합공간으로 조성됐다.
한 학습업계 관계자는 “학습회사의 반려동물 시장 진출은 학령인구 감소라는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이라며 "반려동물과의 정서적 교감을 우선시하는 구매자 필요 변화에 대응한 측면도 크다”고 이야기 했다.